👀 저작권 👀
본 블로그 "소심이의 게임 일기"는 출처를 명시하는 경우에도 퍼가기(복사)를 금지하고 있어
가능한 링크를 통해 공유 부탁드립니다.
감사합니다 😄
안녕하세요 꿈꾸는 소심이입니다 😄
저처럼 '발더스 게이트 3'를 12월 이전부터 하신 분들은
저 한글화 패치를 써오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
어떤 유저분들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가던 중인 한글화 패치가 거의 완성되어 가던 시점에서
공식 한국화가 이루어진 데다가
남은 유저 한글화 패치도 마저 작업될 예정이라고 하니
사실상 한국의 발더스 게이트 3 유저들은 두 가지 한글화를 갖게 된 것이나 다름없게 되었습니다
무엇보다 먼저
발빠른 번역으로 발더스 게이트 3의 한글화 패치에 기여해주신 이름모를 모든 분들께 글을 통해서나마
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글을 시작합니다
양 쪽의 번역 모두 제가 판단할 여지없이 훌륭하나
각각의 개성이 있고 그래서 장점이 조금씩 다릅니다
이번 글에서는 그래서 그 차이를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
혹시 나중에 다른 한글화를 써볼까 고려하는 분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라며 글을 엽니다 😄
[1] 유저 한글화 패치에는 모든 동료의 선택지 호감도 증감을 보여주는 기능이 있습니다
( 선택 사항 )
유저 한글화 패치의 좋은 기능 중 하나입니다
첫 회차보다는 다회차일 때, 혹은 게임에 집중하면서 불러오기 없이 동료와 호감도를 빨리 쌓고 싶을 때
사용하기 좋은 기능이며
선택지를 보며 동료 등장 인물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
↑ '발더스 게이트 3'의 유저 한국어 패치 : 호감도 증감 실제 화면 ↑
엄청난 방귀를 뀌는 걸 의외로 반기는 다수의 동료들
▷ 만약 '공식 한글화' 사용 중에도 호감도 증감을 보고 싶으시다면
아래의 모드를 활용해 해당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
↓ 사용 시에 주의사항이 있으며, 넥서스 모드 사이트에 가입하셔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↓
패치 5 이후로 모드 일부 혹은 전체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버그 보고가 꽤 있으므로
제작자 분의 확실한 업데이트 공지 이후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🙂
https://www.nexusmods.com/baldursgate3/mods/2027?tab=description
Show Approval Ratings in Dialogue Choices
Appends resulting approval ratings to the end of dialogue choices.
www.nexusmods.com
[2] 고유 명사 번역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
공식 한글화 | 유저 한국어 패치 |
케더릭 토름 | 케서릭 쏨 |
달오름 탑 | 문라이즈 타워 |
저갈 | 제르갈 |
카를라크 | 칼라크 |
카사도어 | 카사도르 |
밤의 노래 | 나이트송 |
여르기어 | 유르기르 |
등 위와 같이 고유 명사들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
(- 이 글은 2023년 12월 7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- )
다만 공식 한글화의 고유 명사는 조금씩 수정이 되는 부분도 있다고 합니다
특이한 점은
저처럼 유저 한국어 패치를 사용한 적이 있고 + 등장 인물 '카를라크·칼라크'의 오리진 플레이를
한 적이 있는 분들은
자막의 말하는 이가 '칼라크'로 표시됩니다
( 그 외 모든 상세 자막은 '카를라크'로 표시됩니다 )
무결성 검사를 해도 이 점은 동일하며 과거 저장 파일의 영향이라고 합니다 😄
[2] 게임 내 용어 · 아이템등을 번역하는 개성이 다릅니다
공식 한글화 | 유저 한국어 패치 |
영감 | 고양감 |
치명적인 실수 (치명적인 성공) | 대실패 (대성공) |
유리보정 (불리보정) | 이점 · 불리점 |
생환 두루마리 | 소생의 두루마리 |
신속 물약 | 속도의 물약 |
특히 기술명· 기술 설명이나 연금술 재료까지 들어가면 각자의 특히 개성이 돋보이며
등장 인물의 존댓말·반말·말투 등에서도 약간의 개성 차이가 있는데
공식 한글화는 '한글화'에 집중을 한 점이 돋보여 어떤 부분에서는 발더스 게이트 1~2 세대분들도 즐길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 같다는 장점이 있습니다
( 발더스 게이트 1 : 1998년작 )
이 부분은 다회차를 하시면서
직접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😄
각 번역 한글화의 장점을 요약해 본다면
'공식 한글화'는 D&D를 잘 모르는 분들도 이해하기 쉬운 설명이 돋보이며
별도의 설치가 필요없다는 장점,
'유저 한국어 패치'는 폰트나 호감도 증감 표시 등을 선택해 보여지게 할 수 있으며 + D&D 자체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D&D 용어가 통일되어 있어 만족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😄
전 이제 D&D 자체에 흥미를 갖고 배워가는 단계고 이미 익숙해진 점 때문에
한동안 블로그용 정보를 수집한 뒤에는
다시 유저 한국어 패치로 돌아갈 것 같지만
게임사들이 공식 한국어를 지원해준다는 건 그 자체로 정말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
덧붙여 '유저 한국어 패치'는 발더스 게이트 3의 패치에 맞추어 업데이트해주지 않아도 됩니다
다만 새로운 공식 패치가 다운로드 된 후에는 다시 유저 한국어 패치를 위해 파일 한 개를
바꾸어주셔야 합니다
혹시 요청이 있거나 시간이 되면 '유저 한국어 패치' 설명법 및 주의점도 따로 글로 올리겠습니다
마지막으로 양 번역팀께 감사의 말을 전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
이상
#발더스 게이트 3 - '공식 한국어' 와 '유저 한글화 패치' 차이점·장점 이었습니다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
관련된 글들은 아래에 정리해두었습니다 해당 문장을 누르면 글로 이동됩니다 😄
#발더스 게이트 3 - '스팀' 한국어 설정 방법 · 유저 한글화에서 바꿀 때 주의할 점?
'컴퓨터 게임 > 스팀 게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발더스 게이트 3 - 멀티 플레이 ①-방법 · 진행 방식 (꿈의 방문자,선택지 고르는 사람,동료) (1) | 2023.12.20 |
---|---|
#스팀 - HER STORY : [x스포X] 게임 후기 + 추천 · 비추천 이유 (3) | 2023.12.15 |
#발더스 게이트 3 - '스팀' 한국어 설정 방법 · 유저 한글화에서 바꿀 때 주의할 점? (2) | 2023.12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