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브라켓 아래의 창틀 고정부, 도대체 어떻게 설치하라는 걸까?
창틀 두께에 따라
창문형 에어컨의 브라켓 '창틀 고정부(=상하 걸림턱)'
위치 선택 및 설치하는 방법 - 캐리어 *
캐리어 창문형 에어컨은 창틀의 두께 ~6cm까지 설치가 가능합니다 😄
다만 두께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다른데
그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
반응형
에어컨 구입시 동봉되어 있는 '설치 가능 창틀폭 안내' 설명를 참고하겠습니다
이 설명서를 처음 봤을 때 중요하지 않아 보여서 전 버릴 뻔 했습니다 😓
게다가 '설치 설명서'와 용어 통일도 되어 있지 않아요 😅
( 위 사진의 '상하 걸림턱' = 설치 설명서 '창틀 고정부' )
이 설명서에서 짚고 넘어갈 부분은
(1) 캐리어 창문형 에어컨은 방 안에서 볼 때 첫번째 창틀에 설치하는 걸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
아마 몇 가지 요령을 쓰면 두 번째 창틀에도 설치할 수 있을 것 같지만
되도록 첫 번째 창틀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
( 타 브랜드의 일부 제품은 몇 가지 조건이 맞으면
더 실외 쪽으로 = 창문형 에어컨이 방에 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)
(2) 설명서에서 말하는 창틀은 '첫번째 창틀의 두께'를 의미합니다
(3) !!! 기본 (표준) 브라켓의 사용자도 '첫번째 창틀의 두께'가 만약 1cm를 넘는다면
브라켓의 하단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'창틀 고정부'를 해체 후
설명서의 방법에 따라 다시 조립해야 합니다 !!!
※ ↑ 위의 경우가 ↑ 아니라면 기본 (표준) 브라켓 사용자는 창틀 고정부를 별도로 해체·조립할 필요가 없습니다 ※
👁 저작권 👁
본 블로그 "소심이의 게임 일기"는 출처를 명시하는 경우에도 퍼가기(복사)를 금지하고 있습니다.
감사합니다 😄
* 창틀 고정부를 브라켓 하단의 '어디에 어떻게' 설치해야 할지 알아보는 방법 *
* (1) --- 첫번째 창틀의 두께를 잽니다
제가 설치를 도와드린 곳의 첫 번째 창틀의 두께입니다
약 1cm가 되지 않습니다
기본 브라켓 사용자라면 이미 조립된 그대로 하단의 '창틀 고정부'를 사용하면 되지만
이 곳은 연장 브라켓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
저는 '창틀 고정부'의 위치를 옮겨 조립할 것 입니다
* (2) --- 이제 측정한 첫번째 창틀의 두께에 따라
아래의 세가지 방법 중 맞는 방법 한 가지를 찾아 따라하시면 됩니다
** ① --- 창틀의 폭 (첫 번째 창틀의 두께) = ~ 1cm
자세히 보시면 나사가 조립될 구멍이
'창틀 고정부'는 좌우 4개씩 총 8개,
'브라켓 하단'은 좌우에 2개씩 총 4개가 있습니다
(1) 이 경우 창틀 고정부의 '각도'가 'ㄱ'자의 90도 각도인 부분이
브라켓을 기준으로 실외 쪽을 바라보게 조립되어야 합니다
( 브라켓에는 ' 위쪽 방 안쪽 ' 을 표시하는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, 자세한 것은 그림과 사진 참조 )
( 사진은 '연장 브라켓'입니다 꼭 스티커를 참고해주세요 )
(2) 이 경우 꼭 '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' ( 빨간 동그라미 ) 과
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이 일치하도록 나사로 조립해주세요
(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-> 빨간 화살표 )
: 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 ( 모여있는 3개 중 가운데 ) ~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( 서로의 거리가 더 먼 2개의 구멍 ) 연결
** ② --- 창틀의 폭 (첫 번째 창틀의 두께) = 1 ~ 3 cm
자세히 보시면 나사가 조립될 구멍이
'창틀 고정부'는 좌우 4개씩 총 8개,
'브라켓 하단'은 좌우에 2개씩 총 4개가 있습니다
(1) 이 경우 창틀 고정부의 '각도'가 'ㄱ'자의 90도 각도인 부분이
브라켓을 기준으로 실내 쪽을 바라보게 조립되어야 합니다
( 브라켓에는 ' 위쪽 방 안쪽 ' 을 표시하는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,
! 사진의 창틀 고정부와 반대의 각도로 꼭 설치하셔야 합니다 ! 별표로 표시 )
( 사진은 '연장 브라켓'입니다 꼭 스티커를 참고해주세요 )
(2) 이 경우 꼭 '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' ( 빨간 동그라미 ) 과
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이 일치하도록 나사로 조립해주세요
(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-> 빨간 화살표 )
: 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 ( 모여있는 3개 중 가운데 ) ~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( 서로 거리가 더 가까운 2개의 구멍 ) 연결
** ③ --- 창틀의 폭 (첫 번째 창틀의 두께) = 3 ~ 6 cm
자세히 보시면 나사가 조립될 구멍이
'창틀 고정부'는 좌우 4개씩 총 8개,
'브라켓 하단'은 좌우에 2개씩 총 4개가 있습니다
(1) 이 경우 창틀 고정부의 '각도'가 'ㄱ'자의 90도 각도인 부분이
브라켓을 기준으로 실내 쪽을 바라보게 조립되어야 합니다
( 브라켓에는 ' 위쪽 방 안쪽 ' 을 표시하는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,
! 사진의 창틀 고정부와 반대의 각도로 꼭 설치하셔야 합니다 ! 별표로 표시 )
( 사진은 '연장 브라켓'입니다 꼭 스티커를 참고해주세요 )
(2) 이 경우 꼭 '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' ( 빨간 동그라미 ) 과
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이 일치하도록 나사로 조립해주세요
(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-> 빨간 화살표 )
: 창틀 고정부의 나사 구멍 ( 3개씩 몰려있지 않는 나머지 나사 구멍들 ) ~ 브라켓 하단의 나사 구멍 ( 서로 거리가 더 가까운 2개의 구멍 ) 연결
도움이 되셨다면
↓ 글의 맨 아래 - 왼 쪽의 ♡를 눌러주시면 글을 쓸 때마다 힘이 됩니다 🐮🌱 ↓
↓ '창문형' 에어컨에 관련된 다른 글 ↓
'창문형' 에어컨 · '이동식' 에어컨 : 총 정리 비교! ( 자가증발 · 전기요금 · 소음 등 )
" 이동식 에어컨 " 안 시원할 때 개조법 & 추천하는 재료 (= 준비물 )
" 이동식 에어컨, 어떨 때 쓰면 좋을까? " / 창문형 에어컨 장단점 - 캐리어
이 게시물의 모든 권리는 티스토리 블로그 "소심이의 게임 일기" (꿈꾸는 소심이)에게 있습니다.
ⓒ 2023. 소심이의 게임일기(꿈꾸는 소심이) All rights reserved.
'그 외 #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캐리어" 창문형 에어컨 - 필터 교체 방법 & 안전한 배수 방법 ( + 배수 호스 연장 ) (0) | 2023.07.27 |
---|---|
"캐리어" 창문형 에어컨 '직접 설치' 방법 - 연장 브라켓 + ( 공식 유튜브 · 설명서에서 나오지 않은 것 ) (4) | 2023.07.01 |
" 이동식 에어컨 " 안 시원할 때 개조법 & 추천하는 재료 (= 준비물 ) (2) | 2023.06.20 |
" 이동식 에어컨, 어떨 때 쓰면 좋을까? " / 창문형 에어컨 장단점 - 캐리어 (0) | 2023.05.20 |
댓글